[미국와인] 케이머스 나파벨리 까베르네 소비뇽 2018(Caymus, Napa Valley Cabernet Sauvignon)
와그너 패밀리의 최고 맏형은 아니지만, 미국인과 한국인들에게 호불호가 적으면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와인. 어떻게 보면 와그너 일가의 위상을 드높인 대표 와인이자 견인차 역활을 한 것이 바로 케이머스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래 시음기에서 자세히 적겠지만, 이 와인은 딱히 흠잡을 것이 없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좋은 맛을 낸다. 몇 가지 문제를 제하고 말입니다.
#. 케이머스 나파밸리 까베르네 소비뇽 2018
▶ 타입 : 레드
▶ 생산국 : 미국 > 캘리포니아 나파 카운티 > 케이머스 빈야드
▶ 품종 : 까베르네 소비뇽 100%
▶ 알코올 : 13.9%
▶ 구입가 : 12만원
▶ 페어링한 음식 : 소고기 스테이크
▶ 브리딩 : 3시간 디켄팅
- 18빈으로 두 병째 시음. 색은 진한 자주색, 다른 빈티지에 비해 유독 18빈이 도수가 많이 빠졌다.
- 충분히 익지 않은 포도를 사용했거나, 혹은 그 포도를 후숙하는 과정에서 알코올 발효를 강제로 멈췄거나.
- 18년도 작황이 좋지 못해서 일까? 알코올이 여느 빈티지보다 1도 이상 부족하고
- 따라서 바디감이 풀바디가 아닌 미디엄 + 정도에 잔당감을 통제하려든 것이 아닌가 싶지만, 잔당감은 충분한 느낌.
- 산도가 낮고 타닌은 너무 촘촘하다랄까? 부드러워서 이지 드링킹하기 쉬운 스타일인것은 동생 코넌드럼과 유사. 다만, 코넌드럼 만큼의 잔당감이 아닌(역시 발효를 통제해서일까?)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는 점에서 위안을 받아본다.
- 어쨌든 케이머스는 공식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3시간 브리딩을 적용. 디켄터에서 시음 온도 14도에서 시작해 22도까지 골고루 맛보았다.
- 처음부터 대놓고 치고 들어오는 밀크 초콜릿, 커피, 바닐라
- 말린 자두, 블랙베리, 블랙체리 등 주로 검고 말린 뉘앙스가 들어온다. 피니시는 중간.
※ 브리딩 노트
3시간 디켄팅을 추천한다.
※ 총평
진득한 검은 과실, 그렇다고 풀바디까지는 아니어서 째미하진 않았지만, 전반적인 뉘앙스는 과숙한 포도에 잔당감에 바닐라와 부드러운 목넘김으로 대변된다. 와인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즐길 만한 이지 드링크 스타일. 그러나 타닌과 구조감 측면에서는 딱히 개성을 모르겠고, 12~13만원에 구매하기에는 같은 가격대에 훌륭한 가성비를 가진 와인들이 많다는 점에서 케이머스의 가격 경쟁력에는 늘 의문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 18빈이 아닌 다른 빈티지를 맛볼 의향은 있지만, 이 역시 10만원대에서는 글쎄~ 라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을 듯. 내 점수는 92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