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하면 쉬라즈를 떠올리지만, 프랑스 론 지방의 품종으로 블랜딩을 하는 일명 GSM을 표방하는 와인들도 제법 출시됩니다. GSM은 그라나슈, 시라, 무르베드르란 품종을 섞는 것. 다만, 펜폴즈 빈 138은 블랜딩 순서를 바꾸어 시라 비중이 가장 높으니 SGM 순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M은 무르베드르인데 호주에선 '마타로'라 부릅니다. 즉, 무르베드르 = 마타로 같은 품종을 의미합니다. 프랑스의 시라도 호주에선 쉬라즈라 불리지만, 이 역시 시라 = 쉬라즈를 의미한다는 건 와인 애호가들은 아는 사실! 다만, 같은 품종이라도 기후와 토양, 재배 조건이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품종이라도 과실 뉘앙스는 다르게 표현되겠죠. 어쨌든 같은 품종을 의미하는 시라/쉬라즈이지만, 프랑스에선 '시라'로, 호주에선 '쉬라즈'로..

이 와인은 이탈리아 남부의 토착 품종인 수수마니엘로 100%로 만들어졌습니다. 뿔리아 지방은 장화의 뒷굽에 해당되는 곳으로 해양성 기후와 뜨거운 햇빛으로 인해 농익은 과실미를 자랑하는 품종이 주를 이룹니다. 대표적으로 네그로아마로가 있으며, 미국에선 진판델이라 불리는 프리미티보가 그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리 선호하는 품종이 아니지만, 수수마니엘로는 처음이고 흔한 품종이 아니란 점에서 호기심 반, 우려 반으로 구매해 맛을 봤습니다. 확실히 다른 이들의 시음 후기를 보면 호불호가 갈리는데요. 이 가격대에서는 나름대로 흥미로웠고 한 번쯤 경험해 볼만한 와인이었습니다. #. 카를로사니 수수마니엘로 2015 ▶ 타입 : 레드 ▶ 생산국 : 이탈리아 > 뿔리아 > 카를로 사니 ▶ 품종 : 수수마니엘로 10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뉴질랜드쇼블
- 미국와인
- 이태리와인
- 칠레와인
- 이탈리아와인
- 피노누아
- 프랑스와인
- 템프라니요
- 나파밸리
- 메를로
- 호주와인
- 부르고뉴
- 샤블리
- 산지오베제
- 슈퍼투스칸
- 스파클링와인
- 쉬라즈
- 화이트와인
- 리즐링
- 뉴질랜드와인
- 코스트코와인
- 샴페인
- 샤도네이
- 그르나슈
- 보르도와인
- 소비뇽블랑
- 스페인와인
- 블랑드블랑
- 부르고뉴화이트
- 까베르네소비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