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3만원 이상 데일리급으로 인기를 한몸에 받고 있는 씨데랄. 이름도 입에 착착 감기는 것이 아주 마음에 들고 어지간 해선 호불호도 적은 와인. 이유를 생각해보니 국민 와인이라 불리는 칠레산 와인 중 1865와 몬테스 알파의 장점만을 흡수한 느낌이랄까요.
쉬라즈만큼 진득하진 않지만, 이 정도면 풀바디에 가깝고, 적당한 과실미에 약간의 잔당, 부드러운 타닌과 피니시가 있으니 고기나 바비큐 파티에서 이 가격대에 이만한 와인도 없을 듯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느낀 점을 적어보겠습니다.
#. 산페드로 알타이르 씨데랄 2018, 2019
▶ 타입 : 레드
▶ 생산국 : 칠레 > 라펠 밸리 > 알타이르
▶ 품종 : 까베르네 소비뇽 70%, 메를로 20%, 까르미네르, 까베르네 프랑, 시라/쉬라즈, 쁘띠 베르도 10%
▶ 알코올 : 14.5%
▶ 구입가 : 3.5만원
▶ 페어링한 음식 : 소고기 스테이크
▶ 브리딩 : 디켄터 1시간
- 18빈과 19빈은 차이가 상당히 다르게 났으며, 평가도 엇갈렸다.
- 뽕따로 시작했으나 대부분 디켄터에서 30분~1시간 브리딩. 초반에는 풀향과 특유의 칠레스러운 피망 향이 가득 난다. 18빈 보다는 19빈이 피망과 피라진 향이 두드러지며, 저가 와인에서 나는 특유의 구두약 냄새와 환원취를 풍긴다.
- 반면, 18빈은 박하향과 약간의 채소향, 검은 과실향 위주로 피어오른다.
- 진한 퍼플, 자홍색의 림, 중심부와 색수 차이가 적어 숙성의 기미가 없었으며, 두껍고 천천히 떨어지는 눈물은 풀바디와 어느 정도의 잔당감, 높은 알코올을 예고한다.
- 둘 다 공통점은 블랙베리, 약간의 카시스, 플럼, 블랙체리 등 검은 과실 위주로 존재감을 드러냈으며 18빈은 알코올 케어가 잘 됐는지 유칼립투스나 허브 향에 약간의 야채 향이 났고, 19빈은 대놓고 파프리카, 피망 향이 올라왔다. 두 와인 모두 20분 정도가 지나자 초반에 좋지 못했던 환원취는 날아간 상태.
- 두 빈티지가 풀바디에 가까우며 산도는 보통, 피니시는 살짝 쇼트한 감이 있지만 그래도 준수. 타닌은 이스까이처럼 부드럽지만 엘레강스하진 않다. 즉, 타닌 자체의 존재감이 두드러지지 않았는 뜻.
※ 브리딩 노트
확실히 디켄터에 넣어 초반에서 나는 환원취와 화학적인 향을 날려버리고, 과실 향을 피어오르게 할 필요는 있어 보이는 와인. 30분~1시간 정도가 적당할 것 같다.
※ 총평
18빈은 적당히 묵직하고 진했으며, 과실향의 퍼포먼스도 나쁘지 않았고 유칼립투스 뉘앙스도 기분 좋게 받아들여졌다. 약간의 잔당감은 초심자들에게도 환영받을 만. 그런데 19빈은 피망과 야채주스를 섞은 듯 썩 개운치 못한 피라진 향을 내뿜었고, 맛도 중간이 텅 빈 느낌이랄까. 과실의 힘도 18빈에 못 미치는 느낌. 둘 다 목넘김이 부드러운 이지 드링크 타입이며, 기름기가 많지 않은 고기와 함께 하면 좋은 와인. 내 점수는 18빈은 92점. 19빈은 90점.
'와인 시음 후기 > 칠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르도와인
- 템프라니요
- 나파밸리
- 산지오베제
- 스페인와인
- 그르나슈
- 샴페인
- 메를로
- 이태리와인
- 뉴질랜드와인
- 호주와인
- 부르고뉴화이트
- 화이트와인
- 소비뇽블랑
- 쉬라즈
- 뉴질랜드쇼블
- 피노누아
- 칠레와인
- 미국와인
- 리즐링
- 까베르네소비뇽
- 이탈리아와인
- 샤블리
- 블랑드블랑
- 슈퍼투스칸
- 샤도네이
- 프랑스와인
- 부르고뉴
- 스파클링와인
- 코스트코와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