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르도 와인] 라 미스테리알 루싹 쎙떼밀리옹 2016(Maison de grand esprit, La Mysteriale Lussac Saint-emilion)
★입질의추억★ 2022. 1. 1. 16:49#. 라 미스테리알 루싹 쎙떼밀리옹 2016
▶ 타입 : 레드
▶ 생산국 : 프랑스 > 보르도 쌩떼밀리옹 > 메종 드 그헝 에스쁘리
▶ 품종 : 메를로, 까베르네 프랑, 까베르네 소비뇽 블랜딩
▶ 알코올 : 13.5%
▶ 구입가 : 5만원(행사가)
▶ 페어링한 음식 : 수제버거
▶ 브리딩 : 1시간 디켄팅
- 컬러
속이 비치지 않는 짙은 루비, 가장자리는 옅은 루비에 가넷빛도 살짝 돈다. 림 베리에이션이 살짝 나타나기 시작. 색은 거의 묻어나오지 않는 눈물이 적당한 속도로 떨어진다.
- 향
처음부터 1시간 디켄팅 후 시음. 허브향이 들이대는 스타일에 감초, 삼나무, 라즈베리, 블랙체리 등의 향이 숨어 있다.
- 맛
1시간 디켄팅에서도 과실은 여전히 답답한 상태로 정체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동물적 뉘앙스와 삼나무, 블랙체리, 플럼, 강렬한 민트 등이 나타난다. 타닌의 양이 많은데 그 느낌이 거칠며 고급스러운 뉘앙스와는 거리가 있다. 미디엄 풀 바디지만, 무겁지 않다. 산도는 정적이며 가라앉은 느낌으로 밸런스가 썩 좋다는 느낌은 아니다. 반면, 피니시는 7초 정도로 이 가격대 치곤 준수한 편이며, 철분 뉘앙스의 미네랄리티도 출중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향의 발산력은 높아졌지만 맛에선 더는 발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다. 결국, 2시간 30분간의 시음에서는 1시간 디켄팅 이후 이렇다할 변화를 보지 못한 채 끝마쳐야 했다.
※ 브리딩 노트
디켄팅 1시간 30분~2시간 가량 권장.
※ 총평
해당 와이너리는 남부 론쪽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지 샤또네프뒤파프를 필두로 하는 론 와인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비교적 신생 와이너리로 보인다. 해당 와인은 보르도 우완의 쎙떼밀리옹에서도 루싹 쌩떼밀리옹이란 지역의 보르도 와인으로 2015빈티지를 통해 첫 선을 보였고, 2016빈은 두 번째 작품이다. 보르도에서 2016빈티지는 좌완, 우완 할 것 없이 그레잇 빈티지로 과실의 힘이 출중하며, 그만큼 숙성 잠재력을 가진 훌륭한 와인들이 생산됐던 해이다.
하지만 라 미스테리알의 과실은 중간에 코어가 비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약했으며, 3만원 초반대에 판매되면서 바로 옆 동네 쌩떼밀리옹 와인인 샤또 떼시에르 2016보다 힘에서 밀리는 느낌이 들었다. 해평가 40달러임을 생각한다면 5만원에 구매한건 꽤 좋은 가격임이 분명하나 테시에르가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가성비는 글쎄인 듯하다. 내 점수는 91점.
'와인 시음 후기 > 프랑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뉴질랜드쇼블
- 화이트와인
- 샤블리
- 샤도네이
- 소비뇽블랑
- 스파클링와인
- 쉬라즈
- 까베르네소비뇽
- 코스트코와인
- 부르고뉴
- 샴페인
- 뉴질랜드와인
- 칠레와인
- 산지오베제
- 피노누아
- 그르나슈
- 호주와인
- 스페인와인
- 이태리와인
- 부르고뉴화이트
- 메를로
- 이탈리아와인
- 블랑드블랑
- 리즐링
- 슈퍼투스칸
- 나파밸리
- 템프라니요
- 프랑스와인
- 미국와인
- 보르도와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